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서울에 거주하는 엄마, 아빠들은 주목해주세요!
서울특별시에서는 0~9세 자녀를 양육 중인 부모들의 육아부담을 덜어주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2022년부터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사업을 시행하고 있어요.
이 프로젝트는 2022년부터 10년 동안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안심돌봄(11개 사업), 편한외출(5개 사업), 건강힐링(5개 사업), 일생활균형(6개 사업) 등 4대 분야 27개의 양육자 지원 사업이 이루어집니다.
참고자료)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출처: 서울시
안심돌봄 지원 정책
1. 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맞벌이 가구, 한부모 가정, 다자녀 가정 등 부모가 직접 아이를 돌보기 어려워서 친인척, 또는 민간 육아도우미의 돌봄 지원을 받는 가정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4개월~36개월 이하 아이를 키우며, 맞벌이 등 양육 공백이 있는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가구원수별 기준 중위소득 150%
구분 | 기준 중위소득 150% |
---|---|
3인 가구 | 6,653,000원 |
4인 가구 | 8,102,000원 |
5인 가구 | 9,497,000원 |
6인 가구 | 10,842,000원 |
1️⃣ 아이돌봄비 지원(월 30만원)
할아버지나 할머니 등 조부모, 삼촌, 이모, 고모 등 4촌 이내의 친인척이 월 40시간 이상 돌봄 지원을 하는 경우 월 30만원의 돌봄비를 최대 13개월 동안 현금으로 지원합니다.
2️⃣ 서울시 지정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이용권 제공(월 30만원 한도)
민간 아이돌봄서비스를 선호하면 서울시가 지정한 서비스 제공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아이 1명당 최대 월 30만원의 이용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몽땅정보만능키 홈페이지(바로가기)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아이돌봄담당관(☎️ 02-2133-4808)
2. ☎️ 틈새보육 SOS 서비스
자녀가 갑자기 아플 때, 급하게 맡길 곳이 필요할 때, 병원에 함께 가야할 때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아픈아이 돌봄공간
병원방문, 돌봄이 필요한 아픈 아동(만 6세~12세)에게 전문인력 보호 하에 휴식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병원동행이 필요한 경우, 전용차량으로 아동과 병원에 동행한 후 보호자에게 인계합니다.
우리동네키움포털(https://icare.seoul.go.kr)의 ‘아픈아이 병상돌봄, 병원동행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예약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아픈아이 전담 아이돌보미
만 12세 이하의 아픈 아동을 대상으로 전담 돌보미가 병원 동행 및 가정 내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우리동네키움포털(https://icare.seoul.go.kr)의 ‘서울시 아이돌보미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영유아 긴급보육 지원
야간에 급하게 돌봄이 필요할 경우, 주말에 돌봄이 필요할 경우, 시간제로 돌봄이 필요할 경우 틈새보육 SOS 서비스를 통해 돌봄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초등생 방과후 긴급 일시돌봄’, ‘지역아동센터 긴급 일시돌봄’, ‘등하원 전담 아이돌봄’, ‘영아전담 아이돌봄’ 서비스를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아이돌봄담당관(☎️ 02-2133-4813)
3. 서울형 키즈카페 확대
만 0~9세 영유아 및 초등학생이 이용할 수 있는 놀이환경이 조성된 키즈카페를 운영합니다.
식음료는 판매하지 않으며 놀이보조 인력을 배치해서 놀이+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울형 키즈카페를 이용하려면 우리동네키움포털(https://icare.seoul.go.kr/) 홈페이지에서 ‘서울형 키즈카페 예약’ 서비스를 통해 예약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아이돌봄담당관(☎️ 02-2133-4803)
4. 공보육·초등돌봄 시설 확충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5세 영유아 보육을 위한 국공립 어린이집과 서울형 어린이집을 확충합니다.
아이사랑(https://www.childcare.go.kr/) 홈페이지를 통해 입소대기 신청이 가능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영유아담당관(국공립어린이집 ☎️ 02-2133-5101 / 서울형어린이집 ☎️ 02-2133-5108)
편한 외출 지원 정책
1. ️ 서울 엄마아빠 VIP존
자녀와 함께 외출해서 아이와 함께 휴식할 수 있고 수유・돌봄・놀이 등 육아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용(VIP)공간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요.
2023년 11월 기준으로 엄마아빠 VIP존은 2곳이 있는데요.
서울시는 2026년까지 66개소로 전용공간을 확대할 계획이에요.
1️⃣ 서울아트책보고 서울엄마아빠VIP존(즐겨보고)
- 위치: 서울시 구로구 경인로 430(고척동)
- 운영시간: 화~금 11:00 ~ 20:00 / 주말・공휴일 10:00 ~ 20:00
- 주요 프로그램: 세계 그림책 자유 열람, 어린이・가족 대상 프로그램 진행
2️⃣ 세종문화회관 서울엄마아빠VIP존(아이들세상)
- 위치: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세종로)
- 운영시간: 공연 30분전 ~ 공연종료 후 10분까지
- 주요 프로그램: 양육자가 공연을 관람하는 동안 아이돌봄 프로그램 제공
문의처: 서울시 양육행복추진반(☎️ 02-2133-5322 / 5324)
2. 가족화장실 조성
영유아 동반 엄마아빠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족화장실을 2026년까지 169개소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가족화장실에는 영유아용 변기, 세면대, 유아거치대, 기저귀교환대 등이 구비되어 있어요.
2023년 기준으로 서울 내 공원, 한강공원에 총 13개소의 가족화장실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1️⃣ 공원 2개소
북서울꿈의숲 야외화장실, 용산가족공원 놀이터 옆
2️⃣ 한강공원 11개소
여의도 1, 양화 2, 뚝섬 1, 잠원 1, 잠실 1, 난지 1, 광나루 2, 이촌 1, 망원 1
문의처: 서울시 저출생정책추진반(☎️ 02-2133-5327)
3. ️ 가족배려주차장 조성
임산부, 영유아를 배려하기 위해 이동성과 접근성이 편리한 주차구획을 가족배려주차장으로 조성합니다.
서울시 내 공영주차장의 10% 이상을 가족배려주차장으로 조성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주차계획과(☎️ 02-2133-2362)
4. 서울엄마아빠택시 운영
영유아 자녀와 유아차 등 소지하는 짐이 많은 양육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택시를 운영합니다.
서울엄마아빠택시에는 전용 카시트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영아 1인당 연 10만원의 택시 이용권(포인트)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저출생정책추진반(☎️ 02-2133-5333)
5. 서울키즈(Kids)오케이존 지정
‘노키즈존’ 확산으로 자녀와 외출 시 심리적 위축을 느끼는 양육자를 배려하기 위해 서울키드(Kids)오케이존 지정 음식점을 2026년까지 700개소 지정할 계획입니다.
동참하는 음식점에는 지정 마크를 부착하고 어린이 전용의자 등 30만원 이내의 물품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문의처: 서울시 저출생정책추진반(☎️ 02-2133-5327)
❤️ 건강힐링 지원 정책
1. ♀️ 힐링타임 문화 프로젝트
문화생활 시간이 부족한 엄마아빠를 위해 서울시 문화시설에서 운영하는 낮 시간 전용 문화 프로그램 등을 확대합니다.
1️⃣ 문화 프로그램 제공
세종문화회관의 ‘마티네 천원의 힐링콘서트’, 서울도서관의 ‘주말은 엄마아빠가 행복한 책 읽는 서울광장’ 등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2️⃣ 엄마 북(Book)돋음 서비스
예비부모(임산부)에게 엄마아빠 책 1권 + 아이 첫 책 2권 + 육아정책정보를 지원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문화정책과(☎️ 02-2133-2543)
2. ♀️ 출산맘 몸・마음 토탈케어
출산을 한 엄마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을 지원하는 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1️⃣ 서울맘 찾아가는 행복수유 지원
출산 후 8주 이내 출산가정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매니저가 직접 유방관리서비스 및 모유수유교육을 진행합니다.
2️⃣ 행복맘 지원 건강플랫폼 운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산맘 1,000명에게 스마트 밴드와 전용앱을 통해 건강관리 서비스 및 특화 정보를 제공합니다.
3️⃣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바우처
출산 후 60일 이내 가정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사를 파견해서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양육(산모식사준비, 청소 및 세탁)을 지원합니다.
4️⃣ 산후 우울증 정신건강 서비스
출산 전후 2년 이내인 임산부를 대상으로 전담간호사가 방문해서 산후우울 검사를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고위험자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연계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스마트건강과(☎️ 02-2133-7577, 7549, 7578)
3. 서울아이 발달지원센터
18~30개월 이하 발달지연 영유아의 발달 검사와 진단,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필요할 경우 전문병원에 연계해주는 서비스입니다.
문의처: 서울시 영유아담당관(☎️ 02-2133-5107)
4. 맞춤형 양육코칭 프로그램 운영
만 0~5세 영유아 양육자를 대상으로 전문가가 직접 양육방법 맞춤형 코칭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문의처: 서울시 영유아담당관(☎️ 02-2133-5094)
일생활균형 지원 정책
1. 엄마아빠 육아휴직장려금
육아휴직을 하는 양육자에게 최대 120만원의 육아휴직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고용보험 가입자로 육아휴직급여를 수급하고 있어야 하며,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여야 합니다.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형 엄마아빠 육아휴직장려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서울형 엄마아빠 육아휴직장려금의 지원 대상, 지원금, 신청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인퐁에서 작성한 관련 콘텐츠를 참고해주세요! |
문의처: 서울시 양성평등담당관(☎️ 02-2133-5045)
2.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임산부, 맞벌이 가정, 다자녀 가정 등을 대상으로 가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의 임산부(임신~출산 후 1년이내), 맞벌이 가정(주 20시간 이상 근로), 다자녀(만 18세 이하 자녀 2명 이상) 가정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소, 세탁, 설거지, 쓰레기 배출 등 가사 서비스를 총 6회(1회당 4시간) 지원하며 취사, 정리정돈, 아이돌봄, 입주청소 등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가족다문화담당관(☎️ 02-2133-8689)
3. 아이 삼시세끼 틈새 지원
하루 세끼 중 공백이 있는 식사를 지원합니다.
1️⃣ 어린이집 석식 지원
어린이집 연장 보육(16:00~19:30)을 이용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에서 석식을 제공합니다.
이용요금은 한 끼 식사에 2천원입니다.
문의처: 서울시 가족다문화담당관 (☎️ 02-2133-8689)
2️⃣ 우리동네키움센터 방학 중 중식 무료제공
우리동네키움센터를 방학 중이 이용하는 아동(만 6세~12시)에게 중식을 무료로 제공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아이돌봄담당관 (☎️ 02-2133-4945)
3️⃣ 퇴근길 가정행복 도시락 및 밀키트 할인 지원
만 18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에 편의점(GS25, CU)에서 판매하는 도시락 및 밀키트를 20%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합니다.
월 15회 사용 가능하며, 매월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 홈페이지에서 선착순으로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문의처: 서울시 가족다문화담당관(☎️ 02-2133-8685)
4. 경력보유여성 취업 3종 세트
임신, 출산, 양육 등으로 경력이 중단된 여성들의 취업을 지원합니다.
1️⃣ 우먼업 구직지원금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만 30세~49세 미취업 여성에게 구직지원금 최대 90만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맞춤형 취업 및 창업 지원과 직업훈련교육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에 있는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방문 신청해야 합니다.
2️⃣ 우먼업 인턴십
직무 관련 자격증이나 경력을 보유하고 있거나 직업훈련교육과정을 이수한 만 30세~49세 경력단절여성에게 서울시 소재한 기업에서 3개월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울시에 있는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방문 신청해야 합니다.
3️⃣ 우먼업 고용장려금
우먼업 인턴 등을 정규직(또는 1년 이상) 채용한 민간기업에 총 300만원의 인건비를 지원합니다.
서울시에 있는 여성인력개발기관에 방문 신청해야 합니다.
문의처: 서울시 양성평등담당관(☎️ 02-2133-5018) / 대표전화(☎️ 1660-3040)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바로가기)를 확인해주세요!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