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도시가스 캐시백 지급은 완료되었습니다. 그러나 다음 캐쉬백 프로그램이 12월부터 시행될 예정인데요. 그래서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사업을 미리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업 시행 취지부터 신청 대상의 자격 조건, 혜택, 신청 방법까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같이 보면 더 좋은 인퐁 콘텐츠 ➡️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알아보자! Click! ➡️ 월세 환급제도 확인하고 환급 받자! Click!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은?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1.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2023년 1월 도시가스 요금을 받아보셨나요?
아마 저도 그랬지만 정말 많은 분들이 놀라셨을 거 같습니다.
그 이유는 요금이 2022년 1월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 올랐기 때문이죠.
이렇게 요금이 오르게 된 이유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가장 큰 몫을 했는데요.
벌써 시간이 많이 흘렀음에도 전쟁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내 월급은 안 오르는데 이런 공과금이 2배 이상 올라서 암담합니다.
하지만 조금이라도 요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1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 가스 사용량 감축 시 요금 환급!
한국가스공사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캐쉬백 제도를 시행합니다.
이 제도는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만들어졌는데요.
전년도 사용량보다 7.0%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서 현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2.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대상 자격조건은?
2.1. 주택난방용/중앙난방용 도시가스요금제 사용자가 대상입니다!
이 사업은 주택난방용 또는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1️⃣ 주택난방용이란?
여기서 주택난방은 개별난방을 의미합니다.
개별난방은 각 세대마다 보일러를 설치해서 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이에요.
개별난방은 소형 보일러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난방과 온수가 공급됩니다.
아파트, 빌라, 일반주택에서 시설을 갖춘 후 자유룝게 사용 가능합니다.
2️⃣ 중앙난방이란?
중앙난방은 아파트 단지 내 설치된 대형 보일러실을 통해서 난방과 온수가 일괄 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입니다.
대형 보일러에서 열을 생산해 배관을 통해 세대 별로 열이 공급됩니다.
보통 오래된 아파트를 보면 중앙 난방이 많습니다.
2.2. ♂️ 제외 대상
2.2.1. 취사용 및 취사전용
난방 목적이 아니라 취사용이나 취사전용 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제외됩니다.
취사용 가스, 또는 취사전용 가스는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2.2.1. 취사용 및 취사전용
난방 목적이 아니라 취사용이나 취사전용 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제외됩니다.
취사용, 취사전용이란? 난방을 타 연로로 하면서 취사로면 사용하는 가스 쉽게 설명드리면 취사용 가스, 또는 취사전용 가스는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 |
(참고사항)2023년 11월 1일 기준 도시가스 요금 단가!
용도구분 | 단가 | 내용 |
---|---|---|
개별난방용 | 22.9062(원/MJ) | 주택 및 준주택에서 개별난방 및 취사로 사용하는 가스 |
중앙난방용 | 22.9062(원/MJ) | 공동주택 및 준주택에서 중앙집중식 난방으로 사용하는 가스 |
취사용 | 22.9062(원/MJ) | 난방을 타 연료로 하면서 취사로만 사용하는 가스 |
단위: 원/MJ
부피요금 → 열량요금 사용한 도시가스의 열량만큼 소비자가 지불하는 방식이며 요금은 부피량(원/Nm3)에서 열량단위(원/MJ)로 개선됩니다. |
2.2.2. 이사 가는 경우도 어렵다!
이사를 간 전출 세대는 지원이 어렵습니다.
전입/전출, 명의 변경을 한 경우도 참여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전년도(절약 및 비교 기간)의 전체 사용량을 확인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고객식별번호가 변경되면서 절감 여부 판단이 불가능합니다.
단, 전입/전출을 했어도 계약번호가 동일하다면 캐쉬백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2.2.3. 중앙난방에서 개별난방 전환 시에도 어려워요.
중앙난방을 쓰다가 개별난방으로 전환하면 고객식별번호(계약번호)가 별도로 발급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전년동기간 사용량과 비교가 어려워 캐쉬백이 안됩니다.
3.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은 얼마나 받나요?
신청 후 절약기간동안 도시가스 요금을 감면하는 만큼 받게 됩니다.
전년도 사용량과 비교해서 7.0% 이상 감면에 성공하면 캐쉬백을 받습니다.
캐쉬백은 감면율에 따라서 지급 단가가 결정됩니다.
최대 15% 이상 절감 시 세제곱미터당 70원이 절감됩니다.
절감 구간별 캐쉬백 지급단가
구분 | 7% 이상 절감시 | 10% 이상 절감시 | 15% 이상 절감시 |
---|---|---|---|
캐쉬백 지급단가 | 30원/㎥ | 50원/㎥ | 70원/㎥ |
3.1. 얼마나 캐쉬백 되나요?
환급 금액 계산은 위 지급단가표를 토대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전년도 사용량이 총 1000㎥이고,
절약기간 동안 사용량을 줄여 850㎥를 사용했습니다.
그렇다면 절감량은 150㎥로 15% 절감에 성공한건데요.
위 내용을 토대로 계산하면 얼마나 캐쉬백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절감량 X 15% 이상 절감 시 단가
= 150㎥ X 70원
= 10,500원(캐쉬백)
3.2. 최대 감면율 혜택은 어떻게 받을까?
보일러 온도를 지난해보다 최소 3도 이상 내리면 최대 감면율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도 이상에서 1도만 올리면 가스요금이 15%이 오릅니다.
반대로 높은 온도에서 1도만 내리면 요금을 7% 내릴 수 있습니다.
4.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신청은 어떻게 하면 되나요?
한국가스공사 캐쉬백 홈페이지로 접속한 후 신청을 진행하면 됩니다.
매년 홈페이지를 통해서 공고문을 확인하고 기간 내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은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가입 시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도시가스사를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서 반드시 입력해야 할 사항은 도시가스사의 고객식별번호입니다.
✅ 인퐁포인트: 고객식별번호는 어디서 찾나요? 고객식별번호는 고지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기사스사별로 고객식별번호 위치, 자리수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히 체크하는 게 중요합니다. |
4.1. 공고일 및 절약기간은 언제인가요?
이 사업은 난방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겨울에 시행합니다.
따라서 매년 12월에 사업이 시행됩니다.
12월 신청 후 절약기간인 12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요금 절약에 참여합니다.
5. 도시가스 절약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도시가스는 실내온도를 1도만 낮춰도 7.0%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온수를 사용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요.
따라서 실내 적정 난방 온도를 낮추고,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또 적정 온수 온도로 설정하고 중간 수압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5.1. 도시가스 절약 방법!!
1️⃣ ⛄ 실내적정난방온도는 18~20도 사이로 설정
난방비는 20도에서 1도만 올라도 15%가 상승합니다.
또 높은 온도로 난방하다가 더워서 꺼버리고
추워서 재가동 시키게 되면 가스 소비량이 더 커집니다.
2️⃣ 적정습도는 40~60도 유지
보일러를 가동할 때 가습기를 활용합니다.
실내에서 적접습도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서 집안 공기를 빠르게 상승시키게 됩니다.
3️⃣ 적정온수 온도는 40도 설정!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스비는 온수 온도 때문에 많이 나옵니다.
온수 온도를 높이고 수압을 강하게 해 뜨겁게 느껴 다시 차가운 반대로 돌리게 되면 특히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데요.
따라서 온수 온도를 40도 이하로 맞추고, 수압을 중간 정도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되면 물을 데우는데 쓰이는 에너지가 절약됩니다.
4️⃣ 온수 사용 후 냉수로 수도꼭지를 돌려요!
수도꼭지 방향이 온수 쪽으로 놓으면 안됩니다.
방향이 온수로 되어있다면 물을 데우기 위한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벼운 세안이나 손을 씻을 때는 냉수로 하는 게 좋습니다.
5️⃣ 보일러 외출 기능을 활용합니다.
보일러는 완전히 종료했다가 재가동을 하면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외출 모드를 설정하면 적정온도가 유지되면서 도시가스가 절약됩니다.
만약 10시간 이내로 외출을 할 경우 외출모드를 사용합니다.
동파가 걱정되는 한파주의보의 나가는 경우에는
15~17도 정도만 설정해놓더라도 동파 예방 및 온기를 지킬 수 있습니다.
6️⃣ 그 외 절약하는 방법은?
방한용품, 보온용품, 보일러 청소,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안쓰는 방 보일러 난방 밸브를 잠그면 월평균 25,000원 정도 절감 가능합니다.
오래된 보일러 청소를 하면 월평균 13,000원 정도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보일러 온수 온도를 조정하면 월평균 9,000원 정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https://api.infong.kr:4434/uploads/0a757015-2bc9-4071-8c01-b7453ddea9b5.png)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