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출산 양육 관련 정부지원금 육아정책 한눈에 : 부모급여 양육수당 아동수당 비교하기

정부에서는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에 따른 부모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이를 보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정책이 바로 부모급여, 아동수당, 그리고 양육수당인데요. 이 정책들은 바우처가 아닌 현금으로 지원금이 지급이 되기 때문에 부모들이 보다 편리하고 부담없이 쓸 수 있으며, 지원금에 따라 중복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양육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이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 등 임신과 출산, 그리고 양육 관련 정부 지원금 정책들의 특징과 자격 조건, 신청 방법, 그리고 그 외 정부 지원 정책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인퐁과 알아볼 내용은?

  1.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1: 부모급여
  2.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2: 아동수당
  3.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3: 양육수당
  4.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비교
  5. 임신, 출산 관련 정부 지원 정책 정리

 

1. ‍ ‍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1: 부모급여

부모급여는 정부에서 만 0세 ~ 1세(0개월 ~ 23개월)의 아이를 키우고 있는 부모에게

월 최대 70만 원을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영아수당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지만 2023년부터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2022년 이후 출생한 아이를 둔 부모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 0세 아이의 부모는 월 70만원, 만 1세 아이의 부모는 월 35만원을 현금으로 지급 받게 됩니다.

출처: 복지로

1.1. 부모급여 자격 조건

  • 2022년 1월 이후 출생한 만 0세 ~ 1세(0개월 ~ 23개월)의 아동의 보호자여야 합니다.
  • 아동을 사실상 보호, 또는 양육하고 있는 아동의 친권자, 후견인 또는 그밖의 사람(조부모, 친인척 등)이어야 합니다.

 

1.2. 부모급여 지원금

  • 만 0세 아이 부모: 월 70만원
  • 만 1세 아이 부모: 월 35만원

시행 첫 해인 2023년에는 만 0세 아이 보호자에게 월 70만원, 만 1세 아이 보호자에게 월 35만원이 지급됩니다.

내년에는 액수가 늘어서 0세는 월 100만원, 1세는 월 50만원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지원금은 보육형태와 관계 없이 신청할 때 등록한 은행 계좌로 매월 25일에 현금으로 입금이 됩니다.

 

1.3. 부모급여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접수를 원하시는 분들은 복지로 홈페이지(https://www.bokjiro.go.kr/)

또는 정부24 홈페이지(https://www.gov.go.kr)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 인퐁 포인트

부모급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인퐁에서 작성한 <부모급여: 자격 조건, 지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글을 보시면 부모급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부모급여 확인하고 월 70만 원 지급 받으세요! CLICK

 

 

2.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2: 아동수당

아동수당이란 정부에서 만 8세 미만 아동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매월 10만원의 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연령 요건이 맞을 경우에는 부모급여와 중복으로 받는 게 가능합니다.

출처: 복지로

 

2.1. 아동수당 자격 조건

  •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만 8세 미만의 아동(0개월~95개월)에게 지급됩니다.

 

2.2. 아동수당 지원금

  • 0개월 ~ 95개월: 월 10만원

만 8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전 달까지 매월 25일에 최대 96개월 동안 월 10만원이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시군구 등 지자체장이 조례로 정하는 경우에 한해 현금이 아닌 지역상품권으로 지급될 수도 있습니다.

 

2.3. 아동수당 신청 방법

아동수당은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인퐁 포인트

아동수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인퐁에서 작성한 <아동수당: 자격 조건, 지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글을 보시면 아동수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아동수당 글 확인하고 매월 10만 원씩 최대 950만원 신청하세요! CLICK

 

 

3.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3: 양육수당

양육수당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만 양육하는 0~86개월 미만의 영유아 아이들에게 국가에서 10~20만원의 돈을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출처: 복지로

 

3.1. 양육수당 자격 조건

  • 어린이집, 유치원(특수학교 포함),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 중인 만 0-6세 영유아여야 합니다.

 

3.2. 양육수당 지원금

  • 아동의 연령(개월 수)에 따라 최소 10만원 ~ 최대 20만원

양육수당 지원금은 아동의 연령(개월 수)에 따라 최소 10만원 ~ 최대 20만원으로 다르게 적용됩니다. 

양육수당은 매월 25일에 현금으로 계좌 입금이 됩니다.

농어촌에 살고 있으며 부모가 농어업에 종사하는 아동에게는 농어촌 양육수당이 지급됩니다.

장애인으로 등록된 영유아에게는 장애아동 양육수당이 지급됩니다.

 

3.3. 양육수당 신청 방법

양육수당은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거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인퐁 포인트

양육수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인퐁에서 작성한 <양육수당: 자격 조건, 지원금, 신청 방법 알아보기> 글을 보시면 양육수당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양육수당 글 확인하고 최대 20만원씩 지원 받으세요! CLICK

 

 

4.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비교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 비교

 임신, 출산 관련 지원금 지급시기 정리

  • 부모급여: 2023년에 시작해서 2024년 확대 적용 예정
  • 영아수당: 부모급여로 이름이 바뀌며 지급 종료
  • 아동수당: 생후 95개월(만 8세 미만)까지 매월 10만원 제공
  • 양육수당(지원금): 2021년생은
    • 0~11개월은 20만원,
    • 12~23개월은 15만원,
    • 24~85개월은 10만원(2022년생부터는 부모급여 신청 이후 24개월부터 적용됨)
    •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아이돌봄서비스 종일제 등 이용 시 바우처로 대체

 

 

5. 임신, 출산 관련 정부 정책 정리

정부에서는 임신과 출산을 한 국민들을 위해 다양한 복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복지 정책은 알아서 챙겨주는 게 아니라 본인이 직접 찾아서 신청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정책이 있는지 모르면 혜택을 누릴 수가 없습니다.

현재 임신, 출산을 한 가정이라면 반드시 알아두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사이트가 있는데요.

 

바로 복지로입니다.

✅ 인퐁 포인트

복지로를 적극 활용하세요!

복지로는 대한민국의 대표 복지포털로, 복지서비스 안내부터 복지서비스 신청까지

현행 대한민국의 복지를 쉽게 확인하고 신청까지 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비단 임신과 출산 관련 정책뿐 아니라 아동, 청소년, 노년, 장애인 등 다양한 대상을 위한 복지 정책들이 총 망라되어 있습니다.

복지로에서 정책 조회부터 신청까지 다 가능하기 때문에 앞서 말씀드렸듯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만약 여기에서 신청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담당하는 기관이 어디인지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복지로에서 확인 가능한 임신, 출산 관련 정부 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금까지 임신, 출산 관련 정부 지원금 정책과 기타 정부 관련 정책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국가에서 아동을 위해 시행하는 정책들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적극 활용하셔서 건강한 양육과 돌봄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