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의 지하철 기본요금이 1,250원에서 150원 인상된 1,400원이 됐습니다. 인천의 시내버스 요금도 1,250원에서 250원 오른 1,500원이고, 서울의 택시와 시내버스 요금도 모두 인상 됐습니다.
고물가 시대에 교통비 인상으로 부담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K-패스’ 교통카드 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K-패스는 20% 이상의 교통비를 돌려 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K-패스가 무엇인지,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는 무엇이 다른지, 언제부터 쓸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인퐁과 알아볼 내용은?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1. K-패스란? 연 최대 21만 6천원 환급 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에요
1.1. 버스·지하철 탄 만큼 돌려 주는 ‘돈 버는’ 교통카드에요
K-패스는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면 요금의 20~50%을 돌려 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정부에서 교통비 인상으로 인한 국민들의 물가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사업인데요. 국토교통부에서 2024년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1.2. ♂️ 청년, 저소득층은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K-패스로 결제하면 교통요금을 일정 비율만큼 환급 받을 수 있는데요. 일반 국민은 20%, 만 19~34세 청년은 30%, 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은 53.3%의 교통비를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카드사의 추가 할인을 받으면 최대 10%의 교통비 할인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참고자료) K-패스 월 최대 60회 이용 시 1년간 돌려받는 교통비
구분 | 일반 | 청년(만 19~34세) | 저소득층 |
---|---|---|---|
환급률 | 20% | 30% | 53.3% |
1회 대중교통 요금 (1,500원 가정 시) |
21만 6,000원 (300원 X 60회 X 12개월) |
32만 4,000원 (450원 X 60회 X 12개월) |
57만 6,000원 (800원 X 60회 X 12개월) |
위의 표를 보면 알 수 있듯 일반 국민은 연 최대 21만 6천원(월 최대 1만 8천원), 청년층은 32만 4천원(월 2만 7천원), 저소득층은 57만 6천원(월 4만 8천원)의 교통비를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
1.3. ♀️ 한 달에 최소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해요
K-패스로 교통비를 돌려 받으려면 한 달에 최소 21회 이상 버스, 지하철을 이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최대 60회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즉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할 수록 이득인 교통카드입니다.
2. ♀️ K-패스의 장점은?: 알뜰교통카드보다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K-패스와 비슷한 사업으로 알뜰교통카드가 있는데요.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했을 때 K-패스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2.1. 대중교통 이용 금액·횟수에 따라 혜택이 주어져요
알뜰교통카드는 2019년 국토교통부에서 도입한 사업으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까지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가 쌓이고 그 마일리지로 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마일리지 적립을 하려면 스마트폰이 있어야 하고요.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알뜰교통카드 전용앱을 설치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앱을 통해 직접 마일리지 적립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용이 번거롭습니다.
만약 깜빡하고 출발·도착 시 앱을 켜지 않았거나 이동거리가 확인되지 않으면 최소 마일리지 50원밖에 받을 수 없었는데요.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금액·횟수’에 따라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이용이 매우 쉽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2. 취약계층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알뜰교통카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앱이 있어야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없거나 스마트폰 이용이 미숙한 저소득층, 노년층은 이용하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K-패스는 일반 교통카드처럼 버스, 지하철 승하차 시 요금을 결제하면 그 횟수만큼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없어도 편리하게 쓸 수 있습니다.
2.3. 전국 어디에서나 쓸 수 있어요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 대상 지역에 거주하는 분들만 쓸 수 있습니다. 2023년 10월 기준 전국 175개 시·군·구에서만 쓸 수 있는데요. K-패스는 전국 어디에서나 쓸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분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알뜰교통카드의 특징, 마일리지 적립 방식, 사용법,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인퐁에서 작성한 관련 콘텐츠를 참고해주세요! |
3. K-패스 신청 방법: 2024년 하반기부터 시행될 예정이에요
K-패스는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사업으로 2024년 하반기, 즉 내년 7월 시행을 목표로 준비 중인 사업입니다. 즉 아직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정부에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도 쉽게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 카드를 발급 받지 않아도 기존에 쓰던 카드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라고 하는데요.
즉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쓰고 계신 분들이라면 계속 사용하다가 2024년에 K-패스가 나오면 갈아타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구체적인 신청 방법 등 K-패스 관련 추가 발표가 이루어지면 바로 내용 업데이트 할 예정이니 꼭 참고해주세요!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