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에서는 국민들이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전기요금을 추가로 할인해주는 에너지캐시백 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요금 인상 때문에 난방비 걱정이 큰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 제도를 활용하면 여름철, 겨울철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너지캐시백 지원 대상,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인퐁과 알아볼 내용은?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1. ⚡️ 에너지캐시백이란? 전기 사용 줄이면 전기요금 할인해줘요
1.1.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면 요금을 할인해줘요
에너지캐시백은 주택용 전기를 사용하는 국민들이 전기 사용량을 줄였을 경우에 기준에 따라 전기요금을 할인해주는 제도에요
2022년에 처음 도입된 사업으로 한전에서 국민들의 절약 의식을 고취하고 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제도입니다.
참고자료) 주택용 1㎾h 당 전기요금(2023년, 겨울철 기준)
구분 | 기본요금 | 전력량 요금(㎾h) |
---|---|---|
200㎾h 이하 사용 | 730원 | 105원 |
201~400㎾h | 1,260원 | 174원 |
400㎾h 초과 | 6,060원 | 242원 |
1.2. 현금을 주는 게 아니라 전기료가 차감돼요
2022년에는 전기 사용량을 줄였을 경우 기준에 따라 현금을 주거나, 기부하거나, 요금을 차감하는 등 사용자가 세 가지 옵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어요.
현금으로 받는 것도 가능했기 때문에 캐시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요.
2023년부터 전기료를 차감해주는 방식으로 통일됐어요.
즉 현금을 주는 게 아니라 요금을 할인해주는 방식으로 혜택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1.3. 1㎾h당 최대 100원을 할인 받을 수 있어요
에너지캐시백은 신청한 시기를 기준으로 지난 2년 평균 전기 사용량을 3% 이상 줄이고 검침일,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하면, 1㎾h 당 최대 100원의 요금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즉 나만 아끼면 끝나는 게 아니라 내가 사는 지역에서 이 제도에 참여한 사람들이 얼마나 아꼈느냐도 중요합니다.
모두 함께 절약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2. ♂️ 에너지캐시백 지급 기준: 기본캐시백, 차등캐시백을 받을 수 있어요
에너지 소비 절감률에 따라 기본캐시백과 차등캐시백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2.1. 기본캐시백: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지급 받을 수 있어요
기본 캐시백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아래의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내가 아껴 써야 해요
에너지캐시백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일단 신청한 신청인 본인이 전기를 아껴 써야 합니다.
신청한 분은 지난 2년 동안 같은 달에 사용한 전기량 평균보다 3% 이상 절약해야 해요.
2️⃣ 내가 사는 지역의 다른 신청인 평균절감률보다 아껴야 해요
나만 아끼면 끝나는 게 아니에요.
내가 사는 지역에서 참여한 다른 사람들의 평균절감률과 비교했을 때 내가 아낀 게 이 수치 이상이어야 해요.
전기사용 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 아껴썼을 경우 1㎾h당 30원을 할인(한도 최대 30% 절감률까지)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서 내가 만약 4%를 아꼈는데, 우리 동네에 사는 다른 참가자들이 평균적으로 5%를 아꼈다면, 기본 캐시백을 받을 수 없습니다.
2.2. 차등캐시백: 절감률 5% 이상 달성하면 받을 수 있어요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과 관계 없이 절감률 5% 이상을 달성할 경우, 절감률 달성 구간에 따라 1㎾h당 30~70원을 차등 지급 받을 수 있어요.
즉 다른 사람이 얼마나 아껴썼는지에 관계 없이 내가 아낀 게 5% 이상이라면 전기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에너지캐시백 절감률 달성구간별 차등캐시백 단가
절감률 달성구간 |
2023년 7월~12월 | 2024년 1분기 | |||
---|---|---|---|---|---|
5%~10% | 10%~20% | 20%~30% | 5%~15% | 15%~30% | |
단가 | 30원/㎾h | 50원/㎾h | 70원/㎾h | 30원/㎾h | 50원/㎾h |
✅ 인퐁 포인트
에너지캐시백 효과를 제대로 누리려면?
에너지캐시백은 많이 아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3년에 인상된 전기요금을 감안하면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서는 최소 10% 이상 절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해볼게요. 2023년에 전기료가 인상됐는데요. 월 427㎾h를 사용하는 가구를 기준으로 계산해보면 2022년에는 월 6만 6690원을 부담해야 했지만, 2023년에는 월 8만 530원으로 요금이 크게 올라갔습니다. 에너지캐시백에 가입해 사용량을 10%(43㎾h) 줄인다면 전기요금은 1만 1180원을 아끼고 캐시백(기본+차등)으로 총 3,900원(기본+차등)의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총 1만 5080원의 전기요금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이에 따른 최종 전기요금은 6만 5450원으로, 작년 기준 요금(6만6690원)보다 1000원 가량 아낄 수 있습니다. 만일 캐시백 최대 지급한도인 30%까지 절감하는 데 성공하면 전기요금은 지난해 절반 수준인 3만 1770원까지 내릴 수 있습니다. |
3. 에너지캐시백 신청 방법: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
3.1. ♀️ 모든 국민이 신청할 수 있어요
에너지캐시백은 소득, 재산 조건과 관계 없이 주택용(가정용) 전기를 사용 중인 모든 국민이 신청 가능해요.
단, 아래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할 수 없습니다.
에너지캐시백 신청 제외 대상
1️⃣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해서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된 고객 2️⃣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 전력량 정보가 없는 고객 3️⃣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즉 전기 사용량 측정이 어렵거나, 다른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면 신청이 불가합니다. |
3.2. 신청일을 포함하는 월분부터 캐시백이 산정돼요
에너지캐시백은 기본적으로 신청 시기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지금도 바로 신청이 가능한데요.
신청을 하면 신청일이 포함된 월분부터 캐시백이 산정됩니다.
3.3. ️ 온라인 신청만 가능해요
에너지캐시백은 에너지캐시백(바로가기) 홈페이지, 또는 한전 고객센터(☎️ 123)에 문의해서 신청경로 문자 메시지 수신, 또는 한전 모바일 앱 한전:ON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를 통한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 후 [에너지캐시백 신청]을 클릭합니다.
2️⃣ 신청인의 주택 유형을 선택한 후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3️⃣ 개인정보를 입력합니다.
4️⃣ [주민등록 주소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고객번호를 확인합니다.
5️⃣ 에너지캐시백 신청을 위한 확인 및 동의사항을 입력한 후 [에너지캐시백 신청 확인]을 클릭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4. ♨️ 겨울철 난방비 절약 꿀팁!
겨울철에는 난방 때문에 평소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인퐁에서 겨울철 전기료를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어렵지 않습니다!
1️⃣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이 높은 고효율 제품을 사용하기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가전제품에는 에너지 소비효율등급이 있습니다.
에너지 소비효율등급은 1등급~5등급으로 나뉘는데요. 숫자가 낮을수록 효율이 높습니다.
1등급 제품이 5등급 제품보다 30~50%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2️⃣ 가전제품 사용 방법을 점검하기
겨울철에 많이 사용하는 전기장판의 온도를 한 단계만 낮춰서 사용하면 월 1,500원 이상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설정온도를 1도 올리고, 냉장실과 냉동실을 꽉 채우지 않고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용하면 월 1,000원 정도의 요금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세탁기는 온수 사용, 탈수 시간(5분 이내), 세탁기 사용 횟수를 줄이면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집안 조명으로 형광등이 아닌 LED 조명을 사용하면 30~50%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3️⃣ 보일러 온도는 낮추고 내복과 실내복 입기
겨울철 인체의 최적온도는 23~24도인데요. 에너지공단에서는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로 18~20도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최적온도와 실내 적정온도에 3~4도의 차이가 있는데요.
에너지공단에서는 내복과 실내복을 착용하면 4~6도 정도의 보온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실내 온도를 20도로 설정해도 충분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일러 실내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면 월 6,530원의 난방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
4️⃣ 가습기 활용하기
보일러를 틀면 실내 온도가 높아져서 따뜻해지지만 동시에 공기가 건조해져서 눈이나 피부, 기관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게 바로 가습기입니다.
가습기는 실내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해주기 때문에 건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해서 실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며 습도로 인해 온기가 오래 보전되기 때문에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5️⃣ 단열에 신경쓰기
겨울철 난방만큼 중요한 게 바로 단열입니다. 즉 실내 난방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요.
집안 창문에 일명 ‘뽁뽁이’로 불리는 단열 에어캡, 이중커튼, 창문 단열 필름 등을 설치하고 바닥에 러그나 카페트 등을 깔면 열 손실을 줄여서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바우처 제도 활용하기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은 에너지바우처 제도를 통해 전기료, 가스요금 등으로 쓸 수 있는 비용을 최대 37만원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바우처 제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에너지바우처 제도의 지원 대상, 지원금, 신청 방법 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인퐁에서 작성한 관련 콘텐츠를 참고해주세요!
➡️ 에너지바우처: 대상, 지원금, 사용법, 신청 방법 알아보기 바로가기 |
6️⃣ 전기요금 모바일 청구서 활용하기
전기요금 청구서를 모바일로 받을 경우 매달 200원의 전기료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기요금을 자동이체로 설정할 경우 1% 할인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모바일 청구서 신청 방법
[한전 사이버지점(바로가기) 홈페이지 접속] – [신청·접수] – [청구서] – [모바일청구서 신청] – [신청]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에너지캐시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분들은 한전의 에너지캐시백 홈페이지(바로가기), 또는 한전 고객센터(☎️ 123)에서 확인해보세요!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