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 1천만원 목돈 만드세요

광주광역시가 ‘청년이 일하고 살고 싶은 광주’를 목표로 청년 근로자의 장기근속과 자산형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 사업’을 본격 시행합니다. 지역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이 2년 동안 매월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기업과 광주시가 같은 금액을 추가 적립해 주는 방식인데요. 청년들의 지역정착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이 제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는 어떻게 운영되나요?

청년이 2년간 500만 원 모으면 기업과 시가 500만 원 보태 줍니다
이 제도는 지역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재직 중인 청년이 2년간 본인 적립금 500만 원을 납입하면, 기업이 200만 원, 광주시가 300만 원을 더해 만기 시 총 1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어주는 사업입니다.

납입 구조는 5:2:3으로 시가 가장 많이 지원해요
총 납입액 1,000만 원 중 청년이 500만 원, 기업이 200만 원, 광주시가 300만 원을 부담하는 식으로, 청년 스스로의 노력과 기업·지자체의 지원이 5:2:3 비율로 어우러진 모델입니다. 특히 광주시가 가장 큰 몫을 담당하고 있네요.

올해는 200명을 선발, 앞으로 매년 500명씩 지원할 계획입니다
광주시는 올해 시비 2억 원을 투입해 청년 200명을 우선 지원하고, 내년부터는 300명을 추가 모집해 매년 총 500명 규모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광주 청년들의 장기근속을 응원하는 시의 의지가 돋보이는 대목입니다.

기업과 청년에게 주어지는 특별한 혜택도 있다고요?

기업은 청년 친화 조직문화 교육을 들을 수 있어요
일자리 공제 사업 참여 기업에는 ‘직장 적응지원 사업’과 연계해 특별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CEO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청년 친화적 조직문화 조성 교육을, 신입사원에게는 직장 적응력 향상 교육을 무료로 지원한다네요.

청년은 2년 만근 시 목돈 마련의 기회를 얻습니다
무엇보다 청년 근로자에게는 2년간 꾸준히 일하며 성실히 저축할 경우 만기 시 통장에 1,000만 원이라는 의미 있는 목돈이 쌓이게 됩니다. 결혼자금이나 주택청약 등 새로운 도전의 밑거름이 될 소중한 기회가 아닐 수 없습니다.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광주 소재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일하는 청년이라면 신청하세요!
신청 자격은 광주에 있는 중소기업 가운데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만 19세~39세 청년입니다. 단, 월급여가 중위소득 150% 이하여야 합니다.

정부나 지자체 자산형성 지원사업 가입자는 제외됩니다
한편 중앙정부나 광주시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주관하는 각종 자산형성 지원제도에 이미 가입해 혜택을 받고 있는 청년들은 이번 기회에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최대한 많은 청년에게 고루 기회를 주기 위함입니다.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 지원 신청 방법은?

6월 19일부터 기업이 광주기업지원시스템을 통해 신청합니다
올해 신청 접수는 6월 19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청년이 아닌 기업 측에서 광주기업지원시스템(www.gjbizinfo.or.kr) 홈페이지에 접속해 기업용·청년용 가입 신청서와 부정수급방지 확인서 등을 제출하면 됩니다.

청년 200명 모집 완료 시까지 수시로 접수합니다
올해 모집 인원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200명입니다. 이 숫자가 채워질 때까지는 별도의 마감일 없이 수시로 신청을 받는다고 하니, 희망하시는 기업의 신속한 신청을 당부드립니다.

지원 대상 선정 시 개별 통보합니다
시에서는 접수된 신청서를 토대로 청년의 소득 수준, 기업의 참여 자격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지원 대상을 가려냅니다. 최종 선정 결과는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청년과 기업에 개별적으로 알려드릴 예정이오니 참고 바랍니다.

광주시의 ‘광주형 청년일자리 공제 사업’은 청년이 지역에 남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고 활력 넘치는 중소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다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 누리집을 참고하시거나 (재)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062-943-3393~3394)으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지원 신청

댓글

댓글 쓰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