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여성 1인 가구 CCTV 비상벨 안심홈세트 무상 지원 신청 방법 안내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거주 중인 1인 가구 여성은 홈CCTV, 휴대용 비상벨, 문열림센서, 창문 잠금장치 등 안전에 필요한 안심홈세트를 무상으로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광산구에서는 여성 취약범죄 예방과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여성 1인 가구 안심홈세트 지원사업’을 실시합니다. 

7월 1일부터 50세대 모집완료 시까지 신청할 수 있으니, 해당되는 여성 1인 가구 여러분은 꼭 신청해 보세요!

✅ 인퐁 포인트 : 광산구 여성 1인 가구 안심홈세트 지원사업, 왜 중요한가요?

✔️ 1인 가구 여성 안전 강화 및 범죄 예방
홈CCTV, 휴대용 비상벨 등 안전장비를 통해 여성 1인 가구의 안전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 무상 지원
안심홈 4종세트를 무상으로 지원받을 수 있어 경제적 부담 없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50세대 지원
7월 1일부터 50세대 모집완료 시까지 신청 가능하니, 해당되는 분들은 서둘러 신청하세요.

지원 대상

광산구 여성 1인 가구 안심홈세트 지원사업의 신청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상자 요건
기본적으로 광산구에 거주하는 여성 1인 가구여야 합니다. 단, 아파트나 자가 거주자, 이전에 이 사업의 지원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거주 형태
단독주택, 다세대/연립주택, 오피스텔 등에 거주하는 여성 1인 가구가 대상입니다.

🔑 우선순위
신청자 중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분들은 우선지원 대상으로 우선적으로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1. 국민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2. 장애인 가구
  3. 기타 보장기관이 추천하는 자

지원 내용 및 혜택

광산구 여성 1인 가구 안심홈세트 지원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된 분들은 다음과 같은 안심홈세트 4종을 일괄 지급 받게 됩니다.

📸 홈CCTV
외부 침입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CCTV를 통해 집 주변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불필요한 방문이나 위험한 상황을 미리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장치 설치를 위해서는 와이파이(WiFi) 환경이 필수적입니다.

🔔 휴대용 비상벨
위험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비상시에 이 벨을 당기면 큰 경보음이 발생하여 주변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는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작동하므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문열림센서
외부에서 문이나 창문을 열고 들어왔을 때 작동합니다. 문이 열리면 경보음이 울리고, 동시에 미리 설정해 둔 지인에게 문자 메시지가 전송됩니다. 이를 통해 외출 중에도 집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는 수혜자가 직접 설치해야 하며, 와이파이 환경이 필요합니다.

🪟 창문 잠금장치
창문틀에 설치하여 창문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1층이나 낮은 층에 거주하는 경우 효과적입니다. 이 장치 역시 수혜자가 직접 설치해야 합니다.

📦 지원 방법
지원물품이 택배로 발송되며 설치가 어려울 시 방문 설치도 가능합니다.

참고자료) 안심홈세트 지원물품

신청 방법

광산구 여성 1인 가구 안심홈세트 지원사업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 기간
7월 1일(월)부터 50세대 모집완료 시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이메일을 통한 온라인 신청 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

  1. 광산구청 여성아동과 방문 신청
  2. 온라인 신청 (이메일: hs89023@korea.kr)

📄 제출 서류

  1. 신청서 1부
  2. 임대차계약서 사본 1부
  3. 주민등록등본 1부 (1개월 이내 발급)

신청 시 주의사항

  • 지원물품 사후 관리에 따른 비용은 본인이 직접 부담해야 합니다.
  •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가정에 무선인터넷(WiFi) 환경이 갖춰져 있어야 합니다.
  • 주거 형태에 따라 설치 불가능한 항목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광산구에 홀로 거주 중인 여성분들은 안심홈세트 지원사업을 통해 더욱 안전한 주거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광산구청 여성아동과(☎ 960-3605)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지원 신청

댓글

댓글 쓰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