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연초, 직장인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단연 연말정산입니다. ‘13월의 보너스‘로 불리기도 하지만, 어떤 이들에게는 추가 납부라는 씁쓸한 결과를 안기기도 하죠.
이러한 결과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연말정산 미리보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말정산이란 무엇인지, 미리보기 서비스의 필요성과 활용 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절세 전략과 세법 개정 사항까지 한눈에 살펴보겠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바로 가기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연말정산 미리보기란?
![](https://infong.kr/wp-content/uploads/2024/12/스크린샷-2024-12-02-오후-3.21.04.png)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매달 급여에서 원천징수한 소득세를 연간 소득을 기준으로 정산하는 과정입니다. 회사가 대략적으로 계산해 원천징수한 세액과 실제로 납부해야 할 세액의 차이를 정리하는 절차로, 과세표준에 따라 미리 낸 세금을 돌려받거나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쉽게 말해, 연말정산은 ‘국가와 개인 간 세금 정산의 마지막 퍼즐‘입니다. 잘 준비하면 환급금이라는 보너스를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다면 예상치 못한 지출을 감당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연말정산 미리보기란?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지난해 연말정산 내역과 올해 1월~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 및 공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년 예상 세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남은 기간 동안 공제 가능 항목을 추가 점검하거나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 연말정산 미리보기 주요 기능
-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 연 소득의 25% 이상 신용카드를 사용했다면 초과분에 대한 공제율을 계산합니다.
-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 개인별 소득 및 공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상 환급액 또는 납부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절세 팁 제공: 최근 3년간의 데이터와 비교해 절세 전략을 추천합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하는 이유
1️⃣ 예상 세액 확인
사실 많은 분들이 연말정산을 하며 기대하는 건 바로 환급금액의 액수입니다. 즉 ‘내가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를 가장 궁금해하는데요.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통해 결과를 미리 확인하면 이 액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남은 두 달 동안의 소비 패턴과 공제 전략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예상치 못한 추가 납부를 방지하고 환급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2️⃣ 소득공제 누락 방지
부양가족, 의료비, 기부금 등 간과하기 쉬운 항목들을 점검해 누락된 공제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3️⃣ 효율적인 소비 계획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 비율을 최적화해 공제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남은 기간 동안 ‘절세’라는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가이드입니다.
연말정산 혜택 확인하기연말정산 미리보기 하는 법
🧑💻 홈택스(www.hometax.go.kr) 접속
![](https://infong.kr/wp-content/uploads/2024/12/스크린샷-2024-12-02-오후-3.42.22.png)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해 상단 메뉴의 장려금/연말정산 항목에서 (근로자용)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선택합니다.
주요 단계
1️⃣ Step 1: 신용카드 소득공제 계산
![](https://infong.kr/wp-content/uploads/2024/12/스크린샷-2024-12-02-오후-3.36.37.png)
1월~9월 실제 사용액과 10월~12월 예상 사용액을 입력해 공제액을 계산합니다.
2️⃣ Step 2: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
![](https://infong.kr/wp-content/uploads/2024/12/스크린샷-2024-12-02-오후-3.37.34.png)
총급여, 기납부 세액, 공제항목 등을 입력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 금액을 확인합니다.
3️⃣ Step 3: 절세 팁 및 3개년 추이 확인
![](https://infong.kr/wp-content/uploads/2024/12/스크린샷-2024-12-02-오후-3.40.35.png)
최근 3년간의 데이터를 통해 연말정산 트렌드와 공제 항목별 절세 방법을 제공합니다.
연말정산 환급액 바로 확인하기2025년 연말정산 달라진 점
👰결혼세액공제 신설
- 적용 대상: 2024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부부
- 공제 금액: 최대 100만 원(부부당, 1인당 50만 원씩)
- 적용 시기: 혼인신고한 해당 연도(생애 1회만 적용)
- 특이점: 초혼 및 재혼 여부 관계없이 적용 가능
신혼부부가 혼인신고 후 해당 연도 연말정산에서 최대 100만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출산지원금 비과세 확대
- 현행: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 개정: 기업에서 지급하는 출산지원금 전액 비과세로 확대
- 조건: 출생일 이후 2년 내에 지급된 금액
소득세가 면제되므로 실질 소득 증가 효과가 기대됩니다.
🧑🧑🧒🧒자녀세액공제 확대
- 첫째 자녀: 기존 15만 원 → 25만 원
- 둘째 자녀: 기존 20만 원 → 30만 원
- 셋째 이후: 기존 30만 원 → 40만 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세액공제 금액이 대폭 증가하여 다자녀 가구에 유리합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한도 상향
- 현행: 연 240만 원 한도
- 개정: 연 300만 원 한도로 확대
- 특이점: 세대주뿐 아니라 배우자도 공제 대상에 포함
- 소득공제율: 납입액의 40%
🏡월세 세액공제 기준 완화
- 현행: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 개정: 총급여 8천만 원 이하로 확대
- 공제 한도: 기존 750만 원 → 1천만 원으로 증가
- 특이점: 중위소득 이상의 근로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범위 확대
💳신용카드 추가 공제 신설
- 적용 조건: 2024년 신용카드 사용액이 전년 대비 5% 이상 증가한 경우
- 공제율: 증가분의 10%(최대 100만 원 한도)
- 특이점: 소비 활성화를 독려하기 위한 정책으로,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 사용과 병행해 추가 혜택 가능
🏊수영장·체력단련장 이용료 공제 확대
- 현행: 신용카드 공제율 15%
- 개정: 직불카드 및 현금영수증 공제율 30%로 동일하게 확대
- 적용 대상: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
2025년 연말정산은 결혼·출산·주택·기부금 공제의 대폭 확대로 절세 기회가 많아졌습니다. 특히 다자녀 가구, 신혼부부, 주택 청약자 등 특정 계층에게 유리한 항목이 많으므로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금 절약 방법
💁🏻♂️ 신용카드 사용 최적화
연 소득의 25%를 초과한 이후에는 공제율이 높은 체크카드(30%)나 현금영수증(30%) 사용을 추천합니다.
💰공제 한도 채우기
- 의료비: 필요한 검진 및 치료를 연말까지 미리 진행합니다.
- 기부금: 정치기부금은 100% 공제, 고향사랑 기부제를 활용해 공제율을 극대화합니다.
👫맞벌이 부부 전략
한쪽이 공제 한도를 초과했다면, 다른 배우자의 카드 또는 공제 항목을 활용해 최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활용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납입하면 13.2~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절세 꿀팁 확인하기연말정산은 단순히 소득세를 정산하는 과정을 넘어, 절세 전략을 통해 개인의 경제적 혜택을 극대화하는 기회입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는 이를 위한 첫걸음으로, 남은 두 달 동안의 소비와 공제를 최적화할 수 있는 소중한 도구입니다.
지금 바로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해 2025년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시작해보세요.
준비가 철저하다면 이번 연말정산은 ‘13월의 보너스‘로 마무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