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은?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1. 청년내일 저축계좌란?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근로 빈곤층 청년들이 생계수급자로 하락하는 것을 예방하고,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들이 사회에 정상적으로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부복지사업인 서민금융 상품입니다. 다시 말하면 수급권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포함되는 청년들이 돈을 효과적으로 모으도록 도와주는 제도라는건데요.
적금과 비슷한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대한민국에서 현재 존재하는 예적금 상품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기 때문에 조건만 된다면 꼭 필히 참여하는 게 좋습니다.
✅ 인퐁 포인트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상반기, 하반기 상관없이 불시에 약 4주 정도 지원자를 모집합니다. 2023년 하반기는 5월 1일부터 26일까지 모집을 끝냈습니다. |
2.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저소득 청년들만 이용할 수 있는 저축상품으로 혜택이 좋습니다. 월 10만원 이상 납입을 하게 되면 정부가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해줍니다. 월 납입 금액은 소득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며, 추가 저축이 되는 지원금도 다릅니다.
혜택은 근로를 하는 청년이 3년동안 매달 10만원을 저축하게 되면 정부가 10만원을 더 적립해줍니다. 3년 후에는 월급 720만원과 적금 이자까지 수령할 수 있습니다.
매월 10만원이라서 부담이 적고 지원금 360만원(10만원씩 36개월)과 적금 이자까지 더한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청년내일 저축계좌 지원대상은?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청년
지원대상은 나이, 소득, 가구소득, 가구재산 기준까지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청을 할 때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연령요건에서 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에는 만 15세부터 만 39세까지 허용됩니다.
3.1. 소득 조건
소득조건은 현재 근로 및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근로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월 50만원 초과, 월 220만원 이하 수입이 있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경우는 현재 근로활동을 하면서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월 10만원 이상 있어야 신청 가능합니다.
3.1.1. 소득에 따른 최대 적립금
소득 구분 | 월 납입금액(본인) | 정부지원금(매칭금액) | 적립 최대 금액 |
---|---|---|---|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10만원 | 10만원 | 760만원 |
중위소득 50% 이하 | 10만원 | 30만원 | 1440만원 |
3.2. 가구별 중위소득(2023)
가구소득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까지 인정됩니다.
가구원 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6인 |
---|---|---|---|---|---|---|
100% | 207만 7,892원 | 345만 6,155원 | 334만 4,816원 | 540만 964원 | 633만 688원 | 722만 7,981원 |
50% | 103만 8,946원 | 172만 8,077원 | 221만 7,408원 | 270만 482원 | 316만 5,344원 | 361만 3,991원 |
47% | 97만 6,609원 | 162만 4,393원 | 208만 4,369원 | 253만 8,453원 | 297만 5,423원 | 339만 7,151원 |
40% | 83만 1,157원 | 138만 2,462원 | 177만 3,927원 | 216만 386원 | 253만 2,275원 | 289만 1,193원 |
30% | 62만 3,368원 | 103만 6,846원 | 133만 445원 | 162만 289원 | 189만 9,206원 | 216만 8,394원 |
3.3. 가구 재산
재산 소득은 부동산, 자동차, 토지를 의미합니다.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가구재산을 대상으로 하며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까지만 인정됩니다. 가구는 현재 가족관계증명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신청자(본인), 부, 모, 형제, 자매를 포함합니다.
4. 신청 방법은?
청년내일 저축계좌는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을 진행하게 됩니다.
언론사나 정책브리핑(홈페이지), 복지로 사이트에서 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 일정을 먼저 확인하고 날짜에 맞춰서 신청을 진행하면 됩니다.
5.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되지 않는 제도
정부에서 지원하는 적금 상품인만큼 혜택이 좋은데요. 비슷하게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는 유사한 지원 사업을 포함한 청년적금 상품과 중복되지 않습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 청년노동자통장(일하는청년통장)
- 청년희망플러스 통장
- 경기도 장애인 누림 통장
- 중소기업 장기재직 재형저축
- 제주 일자리 재형저축
- 일하는 순천 청년희망통장
- 전라남도 청년희망디딤돌통장
- 강원도형 일자리 안심 공제
- 행복드림통장
- 열혈 청년 패키지 사업
- 청년 마이스터 통장
- 청년연금
✅인퐁 포인트 지금 일하는 청년들에게 가장 큰 이슈는 바로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상품이죠. 희망적금과 도약계좌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중복해서 신청할 수 있다고 하니까 여유가 안되더라도 최소 금액으로 가장 효과적이게 이용하는게 좋습니다. |
6.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 참고사항
상품을 이용할 때 손해없이 정부지원금을 전액 받기 위해서는 받드시 가입을 하고 3년동안 근로활동을 연속해야 합니다. 그러면서 매월 10만원 이상을 저축해야 하며, 기간 내 계좌해지를 하게 되면 예상한 목돈을 수령 받지 못하게 됩니다.
또 지속적으로 소득 활동이 유지되야하고 자산형성포털을 통해서 온라인 교육 10시간을 이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만기 도달 6달 전까지 자금사용계획서를 작성해서 제출해야 완료됩니다.
7. 청년내일저축계좌 FAQ
7.1. 공무원(직업군인)도 가입할 수 있을까요?
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근로나 사업으로 소득이 있다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일반 병사(군인)은 월급 자체가 소득세법상 비과세 대상이기 때문에 이는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즉, 현역이지만 일반 병사(징병), 사회복무요원(공익)은 군인 월급 외 복무기관장의 승인을 받아서 다른 근로나 사업 소득이 있어야지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산업제 대체 복무요원이나 직업군인(장교, 부사관)은 급여가 비과세가 아니기 때문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7.2. 근로장학금으로 근로소득이 있는 대학생인데 가입할 수 있을까요?
아쉽게도 근로장학생으로 근로를 하는 경우는 가입이 어렵습니다. 근로장학금 외 다른 근로소득이 없다면 가입할 수 없습니다.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