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라면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보험에는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이상 4가지가 있는데요. 이를 일컬어 4대 보험이라고 부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4대 보험의 뜻과 종류, 그리고 가입확인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은?
|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1. 4대 보험: 선택이 아니라 의무인 사회보험 제도!
4대 보험이란 노후, 질병, 실업, 산업재해 등 국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의 방식으로 대처해 건강과 소득을 지원 및 보장하도록 국가에서 법으로 의무화한 사회보험 제도입니다.
이 4대 보험은 국가에서 시행 중인 사회보험인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을 일컫는 말인데요. 이 4가지 보험은 선택이 아닌 의무가입으로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를 제외한 모든 근로자와 사업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직장인들이 매월 받는 월급의 급여 명세서를 보면 4대 보험료가 제외된 금액이 지급이 되고 있는데요. 각 보험에 따라 다른 보험료율이 책정되며, 월별 소득에 따라 개개인의 납부액이 달라집니다.
국민연금의 경우, 기준소득월액에 따른 보험료는 총 9%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합니다. 건강보험의 보험료율은 비과세 금액을 제외한 월 보수를 기반으로 7.09%이며, 이를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절반인 3.545%씩 나누어 부담합니다.
고용보험은 근로자가 비과세금액을 제외한 보수월액의 0.9%를 부담하며, 사업주의 부담률은 그 사업장의 규모에 따라 다릅니다. 산재보험은 업종별로 보험료율이 다르며, 이 보험료는 사업주가 전체를 부담합니다.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참고자료) 4대 보험 보험료율 (2023년 기준)
|
보험 구분 |
보험료율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
|
국민연금 |
기준소득월액의 9% |
4.5% |
4.5% |
|
고용보험 |
– |
0.9% |
0.9% |
|
산재보험 |
보수총액(월 평균 보수) X 보험료율/1000 |
해당사항 없음 |
업종에 따라 다름 |
|
건강보험 |
보수월액의 7.09% |
3.545% |
3.545% |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81% |
근로자 50% |
사업주 50% |
2. 4대 보험 가입 확인서의 뜻과 용도는?
4대 보험 가입 확인서는 현재 시점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4대 사회보험의 가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를 말합니다. 정식 명칭은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입니다.
과거에는 사회보험의 가입 확인서를 발급 받으려면 국민연금은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은 건강보험공단 등 담당 기관에 따로 요청해서 개별적으로 발급을 받아야 했는데요.
이로 인한 번거로움을 소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4대 보험 가입내역을 일괄 확인할 수 있는 문서를 발급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가입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이기 때문에 과거 재직하던 직장과 관련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4대 보험 가입 확인서가 아닌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가 필요한 경우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소득’, ‘근로 여부’ 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이 문서가 필요한 상황은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자료)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예시 ![]() |
3.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발급 방법(인터넷, 무인발급기, 방문 발급)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발급 방법은 총 세 가지가 있는데요. 다음과 같습니다.
- 인터넷 발급(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 무인발급기 발급
- 공단 지사 방문 발급
3.1.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인터넷 발급 ️
인터넷 발급은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https://www.4insure.or.kr/)를 통해 가능합니다.
발급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화면 상단의 [증명서발급] – [증명서 신청/발급]을 클릭합니다.

2️⃣ 개인정보 처리 및 수집에 동의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증명서 발급 관련한 내용을 살펴본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4️⃣ 증명서 신청과 관련한 내용을 확인한 후 하단의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증명서 상세내역에서 처리여부에 ‘출력가능’이라고 나오면 하단의 [출력] 버튼을 클릭해서 4대 보험 가입 확인서를 확인 및 출력할 수 있습니다.

3.2.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무인발급기 발급
전국의 주민센터(동사무소), 세무서, 병원 등에 가면 무인민원발급기가 있는데요.
이 기기를 통해서도 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할 때에는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무인발급기의 위치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무인발급기 위치 조회하기: https://www.gov.kr/mw/AA090NoManMinwonView.do
3.3. 4대 보험 가입 확인서 공단 지사 방문 발급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4대 보험 담당 공단 지사에 방문해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할 때에는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대리인이 발급 받는 경우에는 위임장이 필요합니다.
각 공단 지사의 주소, 전화번호, 팩스번호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대사회보험 소속지사] 또는 우측 하단메뉴의 [4대사회보험기관 지사찾기(지도)]를 이용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단 지사 조회하기: https://www.4insure.or.kr/ins4/ptl/data/bnh/BnhDataCntrLayout.do
참고자료)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공단 지사찾기 화면

지금까지 4대 사회보험의 뜻과 종류, 그리고 4대 사회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방법까지 살펴봤습니다. 4대 보험은 직장인의 급여 액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히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인퐁에서 작성한 관련 콘텐츠를 함께 참고하시면 각각의 사회보험에 대해 좀 더 많은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4대 사회보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등 4대 사회보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인퐁에서 작성한 관련 콘텐츠를 확인해주세요! [”국민연금 안낼 순 없을까? 가입 대상 및 납부 중단,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납부액 조회 방법” 바로가기]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뜻, 용도, 발급 방법 알아보기” 바로가기] 여러분의 정보뱅크 인퐁이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