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청년들은 문화생활과 자기계발에 쓸 수 있는 문화복지카드를 통해 연 25만 원의 문화복지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전남에서는 도내 거주하는 청년의 문화생활 향유와 자기계발을 지원하기 위해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을 실시합니다.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신청을 받으니, 해당되는 전라남도 청년 여러분은 꼭 신청해 보세요!
✅ 인퐁 포인트: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왜 중요한가요?
✔️ 연 25만 원의 문화복지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
공연관람, 학원수강, 도서구입 등 다양한 문화 활동과 자기계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전라남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 가능해요
도내 문화·여가, 자기계발, 관광 관련 시설에서 폭넓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신청 가능해요
한 달간 신청 기간이 주어지니 서둘러 준비하세요.
오늘 인퐁과 함께 알아볼 내용
지원 대상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의 신청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거주 조건
2022년 8월 1일 이전부터 전라남도에 주소를 두고 2년 이상 계속 거주한 상태여야 합니다.
👤 연령 조건
1996년부터 2005년 출생자가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소득 조건
소득기준은 따로 없으며, 거주와 연령 조건만 갖추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제외 대상
- 복지포인트(카드)를 지급받는 공공기관 근무자
- 학교 밖 청소년 교육수당을 당해연도 1회 이상 지급받았거나, 지급받을 자
- 전라남도 여성농업인 바우처 대상자
- 문화누리카드 지원대상자 (단, 차액 12만원 지원)
지원 내용 및 혜택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의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화복지 비용 지원
1인당 연 25만 원의 문화복지 이용이 가능한 문화복지카드가 지급됩니다.
💳 지원 방식
별도의 체크카드가 발급됩니다. 현금으로 지급되는 게 아니라 카드가 발급되는 방식입니다.
참고자료)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 사용처
문화복지카드는 전라남도 내 문화·여가, 자기계발, 관광 관련 시설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문화·여가: 공연 관람, 전시, 체육 시설 등
- 자기계발: 학원수강, 도서 구입, 음악 관련 용품 등
- 관광: 숙박, 테마파크, 체험관광 등
💳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사용처 안내(클릭)
⏰ 사용 가능 기간
카드발급일부터 연말(12월 31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온라인(인터넷, 앱 등), 키오스크 결제 불가
- 전남 도내(오프라인)에서만 사용 가능
- 현금 교환 및 기한 내 미사용 시 이월 불가
신청 방법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청 기간
8월 1일~8월 31일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 방법
방문 신청 및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 방문 신청: 신청자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방문
- 온라인 신청: 시 거주자는 광주은행 누리집, 군 거주자는 농협카드 누리집
📋 제출 서류
- 신청서 1부
- 개인정보동의서 1부
- 주민등록초본 1부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1부
⚠️ 주의사항
- 행정정보 공동이용 동의 시 주민등록초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제출 생략 가능
- 본인 방문이 어려운 경우 가족(부모, 배우자, 형제)에 한하여 대리 접수 가능 (위임장 제출)
- 온라인 신청은 본인인증 절차로 인해 본인만 신청 가능
대상자 선정 및 카드 발급 방법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 지원사업 선정 및 카드 발급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선정 방법
자격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선정되며, 선정 결과는 개별 통보됩니다.
💳 카드 발급 방법
광주·농협은행 또는 각 시·군에서 체크카드 발급 안내 문자가 발송되며 안내에 따라 카드 발급을 신청하면 됩니다. 카드 발급을 신청하면 1주일 내에 문화복지카드가 우편으로 송부됩니다.
⚠️ 주의사항
- 카드 분실·훼손 시 은행에서 재발급이 가능합니다.
- 이전 연도 카드 발급자는 기존 발급 카드로 바우처가 자동 충전됩니다.
전라남도 청년들은 전남청년 문화복지카드로 다양한 문화생활과 자기계발의 기회를 누릴 수 있습니다.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주소지 관할 읍·면사무소 또는 광주은행 또는 농협카드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추가 문의사항이 있다면 신청자의 주소지 관할 시·군 사업부서로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